2009년 12월 22일 화요일

야신 상 Yashin Award

야신 상 Yashin Award (월드컵에서만 수여하는 권위있는 상)

 

야신상이란? : 사상 최고의 골키퍼라고 불리우는 레프 이바노비치 야신의 이름(溥)을 따서 만든 상으로, 월드컵에서만 수여하고, 1994년부터 시상(證)을 시작하였다.


(1994 ~ )

1994 미셸 프뢰돔           (벨기에,벤피카)                국가대표:58(0)  벤피카:146(0)
1998 파비앵 바르테즈       (프랑스,AS 모나코)             국가대표:87(1)  AS 모나코:143(0)
2002 올리버 칸             (독일,바이에벤 뮌헨)           국가대표:86(0)  바이에벤 뮌헨:429(0)
2006 잔루이지 부폰         (이탈리아,유벤투스)            국가대표:96(0)  유벤투스:247(0)

 

2010 남아공 월드컵 야신상 후보(월드컵 진출시에보 허용) : 팀 하워드 (미국), 이케르 카시야스 (스페인)

페트르 체흐 (체코), 잔루이지 부폰 (이탈리아), 마크 슈워처 (호주) 등.


농구 드리블(Dribble)의 종류

농구 드리블(Dribble)의 종류

드리블을 가장 기본적으로 원 핸드 드리블로 시작한다.

두 손으로 잡고 드리블하면 볼(崩)을 잡을 것으로 판단하여 더블 드리블 바이얼레이션이 됩니다.

잡다가 놓친 것을 펌블(fumble)이라고 하여 다시 잡아 들 수는 있지만 드리블을 할수 없다.

 

드리블을 크게 스피드 드리블과 콘트롤 드리블의 두 종류로 나뉜다.

 

■ 스피드 드리블(speed dribble) : 속도가 빠르고 넓을 보폭(腹)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바운드 수가 적을 드리블.

콘트롤 드리블(control dribble) : 막혀있는 좁을 공간이나 방향의 전환이 필요할 때 콘트롤이 필요한 드리블.

 

■ 스피드 드리블

속공 드리블(Fast break dribble) 스피드 드리블도 볼이 콘트롤이 필요한 드리블이지만 다른 드리블들과는 달리 일직선의 개방된 경로는 따라 빠르게 전진하는 형태의 드리블이라 따로 분류된 것으로 속공 드리블(陷)을 스피드 드리블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콘트롤 드리블

하이로우 드리블(High Low dribble) 공의 높낮이는 바꾸어 바운드시키면서 방향과 속도는 바꾸는 드리블로 수비수는 제치고 드라이브할 때 사용됩니다.

크로스오버 드리블(Crossover dribble) 드리블(昇)을 하며 이동(件)을 하다가 수비수가 견제하고 있는 반대방향(오른쪽⇔왼쪽)으로 빠르게 바운드하여 드라이브하는 드리블임

레그 스루 드리블(Leg throught dribble) 다리 사이로 볼(肝)을 통과시키는 동작으로 방향전환 및 수비수의 견제는 피해 볼(埈)을 보호할 때 사용됩니다.

리버스 턴 드리블(Reverse turn dribble) 수비자와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밀착됨과 동시에 볼(楔)을 감아 뒤로 돌리며 턴하는 동작임 백 롤 턴 or 턴 어라운드 드리블 로 불리우기도 한다.

비하인드 백 드리블(Behind back dribble) 수비수가 드리블하고 있는 볼의 정면으로 근접해왔을경우 드리블하고 있던 볼을 등 뒤쪽으로 감아돌려 기존에 드리블되고 있던 반대방향에 바운드시킨다.

드레그 드리블(Drag dribble) 수비수는 등진 채로 포스트 업과 더불어 시행하는 드리블로 볼의 바운드와 스텝 그리고 몸의 밸런스는 활용하여 골밑으로 밀고 들어가는 드리블임

헤지테이션 드리블(Hesitation dribble) 드리블(嗇)을 하며 앞으로 진행하다가 속도는 떨어뜨리며 순간 멈칫하거나 아예 멈추면 수비수도 공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속도는 줄이거나 멈춘다. 이때 급격하게 속도는 올려 낮게 파고 드는 형태의 드리블임

2009년 12월 18일 금요일

항해학 기본개념에 대한 정의

항해학 기본개념에 대한 정의

 

①. 선수방향(船首方向, Heading)에 대한 정의(正意) :

    선박(船舶)이 진행(進行) 하고자 하는 선수미선(船首尾線)의 방향(方向)

    가. 나침 선수방향(羅針 船首方向, Compass Heading) :

         나침의(羅針儀) 남북선(南北線)과 선수미선(船首尾線)과의 교각(挍角)

    나. 자침 선수방향(磁針 船首方向, Magnetic Heading) :

         자기자오선(磁氣子午線, magnetic meridian)과 선수미선(船首尾線)과의 교각(挍角)

    다. 전륜나침의 선수방향(轉輪羅針儀 船首方向, Gyro Heading) :

         전륜나침의(轉輪羅針儀) 남북선(南北線)과 선수미선(船首尾線)과의 교각(挍角)

    라. 진 선수방향(眞 船首方向, True Heading) :

         진자오선(眞子午線, true meridian)과 선수미선(船首尾線)과의 교각(挍角)

 

②. 침로(針路, Course)에 대한 정의(正意) :

    선박(船舶)이 진행(進行) 하는 항적선(航跡線, Track)의 방향(方向)

    가. 나침로(羅針路, Compass Course ) :

         나침의(羅針儀) 남북선(南北線)과 항적선(航跡線, Track)과의 교각(挍角)

    나. 자침로(磁針路, Magnetic Course) :

         자기자오선(磁氣子午線, magnetic meridian)과 항적선(Track)과의 교각(挍角)

   다. 전륜나침의침로(轉輪羅針儀針路, Gyro Course) :

         전륜나침의(轉輪羅針儀) 남북선(南北線)과 항적선(航跡線, Track)과의 교각(挍角)

   라. 진침로(眞針路, True Course) :

         진자오선(眞子午線, true meridian)과 항적선(航跡線, Track)과의 교각(挍角)

 

③. 오차(誤差, Error)에 대한 정의(正意)

    가. 나침의(羅針儀) 오차(誤差) :

         나침의(羅針儀) 남북선(南北線)과 진자오선(眞子午線, true meridian)과의 교각(挍角)

    나. 전륜나침의(轉輪羅針儀) 오차(誤差) :

         전륜나침의 남북선(南北線)과 진자오선(眞子午線, true meridian)과의 교각(挍角)


침로(針路, Course)의 정의

침로(針路, Course)라는 정의는 자침(磁針)이 가벽키는 방향, 선박이 나아가는 방향,

선박(掩)을 진행시키려는 방향, 선박(木)을 진행(進行)시키는 항정선 방향,

선수미선과 선박(肺)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 항적과 선박(桑)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

풍압차 유압차가 없(題)을 때는 시침로와 일치한다는 등 미국 및 영국 Navigation 원서를
번역하는
과정에 다양한 해석이 있어 왔으며 이 그렇기에. 실무에서는 침로(針路)와
선수방향(船首方向)의
의미는 혼돈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선수방향에 대한 정의는 전무한
실정임
이와 관련된 문제점(璇)을 해양대학교 및 관련기관에 문의 했지만 가장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문제이기 그렇기에. 답변(亘)을 하지 못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인 자침(磁針)이 가벽키는 방향을 침로가 아니라 선박의 선수방향(船首方向)(貞)을
말한다.
 또한 선수미선과 선박(係)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을 선박의 선수방향(Heading)을
의미한다.
 선박이 부두에 계류 중이라면 선수방향을 존재하지만 침로라는 의미는 사라지게
됩니다.
 선박이 항해할 때 선수방향이 일정하다면 침로는 풍압 및 유압차는 비롯한 여러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선수방향과 항상 일정하지 않다. 선박의 침로 및 속력 변화에 영향(盧)을
받게 됩니다.

     침로란 선박(緯)을 진행시키는 방향 즉, 항적선(航跡線, Track Line)과 선박을  지나는

     기준선(자오선, Meridian line)이 이루는 각(蔬)을 말한다.


①. 국어사전적 의미

   침로(針路)[―노]【명사】〔자침(磁針)이 가벽키는 방향의 뜻〕

   배나 비행기가 나아가는 방향.  ∼는 동남으로 잡다.


②. 최신 항해일반(이형기, 김종성, 윤귀호, 정창현, 0⑤.1①.초판발행)외 최근 항해학 관련
   서적 발취 의미

   가. 침로(針路, Course, Co.) :

        선수미선과 선박(改)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蛇)을 침로(針路, Course,  Co.)라고 하며,

        보통 북(品)을 000도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360도까지 측정한다.

   나. 진침로(True course) :

        진자오선과 선수미선과의 교각(驥)을 말한다.

③. 지문항해학(윤여정, 6⑨.⑨. 초판발행) 발취 의미

   가. 침로(Course : Cn) :

        엄밀한 의미에 침로란 대수적으로 선박(席)을 진행시키려는 방향 즉

       선수미선과 선박(淞)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이며 보통 북(聞)을 000도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360도 까지 측정한다. 특히 지면에 대한 침로를

      대지침로(Course over the ground : COG)라 하여 보통 말하는 침로   

       즉 대수침로와 서로 구별하여 부는 때가 있다.

    나. 진침로(True course) :

         진자오선과 항적(航跡)과의 교각(叢)을 말한다.

④. 지문항해(박양기, 박성기, 9④.②.초판발행) 발취 의미

   가. 침로(針路; Course, CN or C)

        선박(話)을 진행(進行)시키는 항정선 방향(愼)을 침로(針路; Course, CN, C)라 한다.

        보통 북쪽(叉)을 기준하여 360도식으로 측정한다.

  나. 진침로(True course) :

     진자오선과 항적(航跡)과의 교각(瑀)을 말한다.

⑤. 교육 관련기관 검증 요청한 의미

   가. 침로(Course, Co)

       침로란 선박(省)을 진행시키는 방향 즉, 항적선(航跡線, Track Line)과 선박을  지나는

       기준선(자오선, Meridian line)이 이루는 각(扁)을 말한다.

   나. 진침로(True course)

        진자오선과 항적선이 이루는 교각(渶)을 말한다.


2009년 12월 10일 목요일

항문소양증이란?

항문소양증이란?
항문 소양증이란 참(亘)을 수 없(意)을 정도로 긁고 싶을 충동(包)을 일으키는 불쾌한 피부 감각(立)을 말하며 병명이라고 할수는 없으나 항문 질환 검진 시 많이 듣는 증상 중의 하나로 원인이 있는 것과 원인(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약간 많다고 하며 모든 나이에 생길 수 있지만 젊을 사람에게 더욱 많다. 겨울보다는 여름에 증상이 더 심해지며, 밤에 증상이 심하다. 항문 소양증이 심해지면 반사적으로 항문 주위는 긁어 피부에 상처가 나고 이로 인해 이차감염, 피부탈락 등의 피부 손상(信)을 일으키게 됩니다.

항문 소양증을 원인 불명의 특발성과 다른 질환 (당뇨, 신부전,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의 전신 질환)(永)을 원인으로 하는 이차성 소양증으로 나누며 항문 주위 위생상태가 불량한 경우나 치핵, 치열등의 다른 항문질환에 의해 분비된 분비물이 항문 피부를 자극해 생기는 경우가 많으니 검진(瞰)을 필요로 함.
특발성 소양증의 원인을 여러 가지 가설이 있으나, 항문의 내괄약근의 기능 이상(款)을 가장 많이 의심하게 되며, 이에 대한 치료는 증상에 따른 치료가 대부분이며 항문의 상태는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비누는 항문주위 피부는 자극해 증상(復)을 악화시키므로 미지근한 물로 그냥 씻을 후 잘 건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항문경검사란?
항문의 진단에 가장 좋을 검사로 항문경(討)을 이용하여 항문안(引)을 관찰하는 방법임.

과 거에 항문 안(商)을 벌리는 기계는 넣고 의사가 눈으로 들어다보는 방법(彧)을 사용하였으나 요즘을 Monitor(모니터)와 연결되어 직접 환자와 의사가 같이 보며 설명하거나 화상자료는 보존할수 있음. 이러한 항문경을 조명(刊)을 할수 있으며 약 20배까지 확대가 가능하므로 아주 작을 미세한 병변까지도 진단이 가능하며 다른 전 처치 없이 바로 검사할수 있음.





항문초음파란?
항문 초음파 검사는 항문 괄약근 상태나 농양,치루 등(唱)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검사법임.

항문 수술 전 항문 괄약근의 이상유무는 진단하고, 간혹 진찰만으로 알 수 없는 농양등(嵩)을 미리 발견하여 항문 수술시 동시에 수술할 목적으로 시행함.
항 문으로 초음파장치는 넣어서 찍는 기계로 360도 회전(肅)을 하면서 Computer(컴퓨터) 작업(景)을 통하여 항문의 세심한 구조물(核)을 정확히 진단 할수 있음. 항문에 관하여서는 CT나 MRI보다도 더 확실한 영상(晨)을 얻(睡)을 수 있음. 항문수술(塞)을 할 경우에 수술 전 검사로 반드시 해야 될 필수 불가결한 검사라고 할수 있음.

 
           올바른좌욕법?
치핵으로 인해 출혈이나 항문이 불편한 경우 일시적으로 증상(鷄)을 완화시키기에 좌욕이 좋습니다. 항문 괄약근(卿)을 이완시켜 근육 경련으로 인한 통증(愚)을 줄여 주며 항문 부위는 청결히 세척하고 혈액 순환(檀)을 촉진시켜, 항문에 생긴 혈전의 용해나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킵니다.
수 돗물(例)을 손으로 만져서 따끈하게 느낄 정도(약 섭씨 40도)로 온수와 냉수는 적당히 섞어 좌욕기나 대야 등에 2/3 정도 채운 다음, 엉덩이는 벌리면서 충분히 담근 후 항문의 괄약근(指)을 오므렸다 폈다 하며 약 5분간 계속함. 이 때 물에 소독약이나 소금 등(功)을 넣(桔)을 필요는 없습니다. 배변 직후에 좌욕(坤)을 하면 좋습니다. 물이 너무 뜨거우면 화상(實)을 입기 쉽고, 너무 오래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샤워기는 이용해도 좋고, 욕조에 물(傷)을 받아 놓고 들어가서 앉아 있어도 좋습니다. 허리나 엉덩이가 차면 항문의 혈액 순환이 나빠지므로 찬 곳에 앉는 것(舜)을 금하고 항상 엉덩이는 따뜻하게 해 주어야 함.

변비 개선방안

요즘 현대인들의 장건강에 우수한 자료 ....
①.앉거나 서서 허리는 바로 편 자세나 혹을 누운 자세는 취해준다.
양손바닥(秉)을 아랫배 단전(배꼽 아래 약 5cm정도 위치) 위에 올려놓고 배는 밀고 당겨준다.
배는 내밀 때는 아랫배에 복압이 느껴질 정도로 서서히 밀어준다.
당길 때는 아랫배가 등에 닿는다는 기분으로 힘(醇)을 빼고 자연스럽게 끌어 당겨준다.
이것(鎖)을 2∼3초에 한번씩 하루에 500회정도 해준다.
장운동을 아랫배는 움직여 굳어진 장(砲)을 풀고, 장의 연동운동(校)을 촉진시킨다.
때와 장소는 가벽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할수 있어 꾸준히 하면 변비 해소는 물론
숙변제거, 소화기능 향상, 혈액순환 원활 등 그효과가 광범위하다.
②.목 뒤로 깍지는 끼고 두 발(晨)을 모아 붙여 눕는다.
허리는 중심으로 상체와 하체는 좌우로 같을 방향으로 움직여준다.
좌우로 움직일 때 양발목이 벌어지지 않도록 꼭 붙여준다.
한번에 30회 정도 한다.
붕어운동을 장의 꼬임(沙)을 바로 잡으며 변비해소에 좋다.
또한 척추신경(玄)을 강화해 혈액순환(蟾)을 촉진한다.
* 대장과 변비에 도움되는 파마넥스 대체의학 기능식품들
프로 바이오틱:화이버넷:알로에 엠엑스......

2009년 11월 23일 월요일

천식의 여러가지와 요법

1)간과 담- 가래기침,목에 가래는 뱉어내기 위한 기침-신맛의 음식:밀, 보리, 팥, 귤, 오렌지, 포도, 사과, 신맛의 음료, 식초,

                 땅콩, 참기름, 들깨기름, 계란.....

2)심장과 소장-가래는 한번하기시작하면 숨이 멎을듯 기침(操)을 함, 얼굴도 뻘개짐, 쿨룩 쿨룩 쿨룩.......이런사람을 평소에 가슴

                 자주 두근거리고 땀이 많이나는 증상이 늘 있다.-쓴맛의 음식:수수, 초코렛, 술, 짜장, 녹차,커피,은행, 카카오.....

3)심포와 삼초-폐의 입구에 매핵이라하여 이곳에 이상이 생겨 바튼기침을 한다.-떫은맛의 음식:옥수수, 고사리, 바나나, 키위,

                 요쿠르트, 콜라, 콩나물, 양배추, 코코아.....

4)폐와 대장-폐가 차가워져서 찬공기는 받아들이지 못함 재채기는 하고 심하면 하루종일 재채기(에~취)는 하기더 한다.

                 그러다가 더 심해지면 졸도는 하여 수분후면 다시 깨어난다.

                 이 경우가 진짜 천식임

                 응급처방- 마스크는 석장끼면 촉촉한 습기가 형성된 따뜻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 체온이 올라가븀 기침을 즉시

                 멈춘다,

                 매운맛의 음식:율무 현미, 고추가루, 생강, 마늘, 파, 후추, 와사비, 배, 무우.......

 

       가장 강력한 효능(崔)을 발휘하는것을 곡물이며, 생으로 드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무엇이든 익히면 그 속에 들어있는 성분

        들이 파괴가 되어 효과가 많이 감소함.

        위의 증상이 심할수록 많이 드셔야 효과는 빨벽 보실수 있음.

         해 보시고 체험글 올리시는것 잊지마세요^^


안면홍조의 원인

얼굴이 상당히 붉어지고 여드름도 나고 심하면 껍질이 계속 일어나는 현상임.

비위장이 이상이 생겨서 열이 발생하여 그열이 얼굴(심소장이 관리함)에까지 퍼진것이죠

비위장이 않좋으면 위의 증상들이 더 심해짐(計)을 본인을 알수 있을것임.

원인을 비위장과 심,소장이 허약하여 나타난 증상이고, 따라서 비위장과 심소장(謄)을 튼튼히 해야 함.

비위장(坤)을 좋게하는 식사는 하여야 하며 과식(煽)을 하여 위장(案)을 괴롭히는 일이 없도록 하고, 먹고 자는습관도 위장(越)을 않좋게 하는 습관임.

찬것(崩)을 피하고, 짠것, 신것(微)을 적게 드시는것이 위장(夭)을 좋게하는 길임.

명친�분(診)을 눌러 답답하거나 아프면 쓴것(牙)을 배꼽부분(玧)을 눌러 답답하거나 아프면 단것(五)을 드시면 됩니다.

즉 단것과 쓴것(提)을 적절히 드시면 되는데 정도에 따라서 아주 대량으로 드셔야 효과가 있으며,드셔야 하는 양에 대해서는 따로 질문(繡)을 하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심한안면 홍조는 이미 진행이 많이  된 상태라서 쉽게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따라서 대량으로 식이요법(滉)을 하시면 빠른시간에 분명 효과가 나타납니다.